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폭이 줄어드는 Timer 개념의 막대기를 만들었습니다. 뒤에 검은색 배경의 막대기를 두고 앞에 있는 파란색의 막대기가 점점 줄어드는 형태인데, 익스플로러에서는 재대로 작동을 하였으나 크롬에서는 줄어들면서 검은색 막대기에 파란색 막대기의 잔상이 남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Javascript에 문제가 있나 싶어서 이리저리 수정해 보았으나 재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구글을 검색해보니 CSS 문제였습니다. position이 fixed로 되어있을 때 해당 CSS를 변경해주면 잔상이 남는 문제였습니다. 문제 해결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CSS 한 줄 추가해주면 끝입니다. 1-webkit-transform: translateZ(0) cs 알아보니 -transform이 해당 객체에 동..
태블릿 PC나 모바일 기기가 늘어남에 따라 모바일 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각 기기별 해상도에 맞춰 레이아웃을 다시 짜야할 필요성이 늘어났습니다. PC로 봤을 때는 깔끔하고 예뻤던 디자인이 모바일 기기로 보면 해상도 차이로 불편한 디자인이 되버렸습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CSS 3.0부터는 미디어 쿼리를 사용하여 여러 조건 별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미디어 쿼리를 적용하는 것에는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Link 1234cs 첫 번째는 link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조건에 따라 각자 다른 css 파일을 불러오도록 되어 있습니다. 2)Style 1234/* style 작성 */ Colored by Color Scriptercs 두 번째는 style 태그 ..
회사가 자체적인 솔루션이나 Framework 안에 Paging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면 볼 필요가 없는 사항이지만, SI 업계 특성상 자신의 회사의 Framework를 적용하지 못하는 일도 빈번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찾아서 적용시키는 일은 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간단하게 Oracle을 통해서 Paging처리를 하는 것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시작은 ROWNUM을 통한 가장 간단하고 기초적인 Paging처리 부터 시작해서 ROW_NUMBER() OVER()를 통한 순서 정리와 COUNT(*) OVER()를 통한 Paging Navigation 대처까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ROWNUM을 통한 Paging 먼저 ROWNUM을 통한 가장 간단한 Paging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형태는 아..
사용자의 입장에서 웹에 접속할 때 가장 짜증나는 부분이 뭐가 있을까요? 제가 약 20년간 인터넷을 하면서 가장 짜증났던 때가 두 가지 있는데, 첫 번째는 끌도 없이 깔라고 하는 Active X와 다른 하나는 답답하고 느려터진 로딩이었습니다. 프로그래머로 정말 기똥찬 로직을 짜서 서비스 하더라도 사용자는 아 이런 것도 되네? 라고 생각하지 이게 진짜 기똥찬지 아닌지는 모르는 법이죠. 막상 잘 짜여진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보단 눈 앞에서 깔라고 하는 Active X와 로딩 속도가 사용자의 주 평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이상한 에러코드가 터지면서 브라우져가 꺼지면 사용자는 정말 속 터지는 상태가 된다고 할 수있죠. 일단, Active X는 뭐 HTML5에 들어서면서 없어지는 추세이니 차치하더라도 속도를..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