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 Grid는 많은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매우 강력한 Grid 제품입니다. 저 또한 손 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많은 기능들을 제공해주는 AG Grid를 자주 사용합니다. 어쩌다 이번 개발 프로젝트에서 가볍게 thymeleaf를 이용한 프론트를 구성해야 하게 되었는데 Grid로 이전에 사용해 왔던 AG Grid를 채택하여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문제가 데이터 하나에 자식 데이터로 여러 개를 표현해야 해서 Height를 조정해야 될 필요성이 생겼는데, 이래 저래 둘러보니 모두 Enterprise 버전에서만 기능들이 제공되었습니다. 예산도 없고 가진 건 시간 뿐인 가난한 개발자는 고뇌에 빠져 한참을 구글링도 하고 Chatgpt씨와 열심히 대화도 나누어 봤지만 방법이 없었습니다.. 이런 제기랄..
현재 모바일의 백앤드로 재직하고 있는 와 중에 순수 웹 페이지에서 intent를 통해 앱으로 이동시키고 앱으로 이동하지 않을 경우 마켓으로 이동시켜 달라는 일을 받았습니다. 안드로이드는 그냥 intent를 통해 앱이 없으면 바로 마켓으로 가게 되는데 IOS는 그냥 에러만 띡 나오고 이동하질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것 저것 검색하면서 다 따라해 봤는데 이렇게 딱 맞다한 걸 못 찾아서 여러번 실험한 결과 이 방법이 그나마 제일 정확하여 여기에 남겨 둡니다. 일단 userAgent를 통해 접속한 유저가 사용하는 기종이 IOS인지 안드로이드인지 판별한 후에 IOS일 경우에는 사파리가 아니면 움직임이 없을 경우 앱스토어로 보냈고, 사파리일 경우에는 해당 방법이 먹지 않아 따로 3초 정도 기다린 이후에 blur를 통..
Input 타입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select, checkbox, text, password 등 수 많은 타입을 내장하고 있는데, select나 checkbox 같은 경우에는 값의 변경을 단순히 onchange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text나 textarea의 경우에는 값을 적고 있을 때에는 onchange로는 값의 변경을 감지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onchange 이벤트가 걸리는 시점이 blur(focus와 반대로 오브젝트를 떠나는 시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onchange로는 text나 textarea의 실시간 값 변경을 감지할 수 없습니다. 업무를 하던 중에 실시간으로 값의 변경을 감지해서 앞의 10글자 정도는 고정으로 가져가도록 유지하게 해야하는 때가 있었는데 찾아보니 ..
파일을 다운로드 할 때 로딩 바가 보이지 않으면 사용자도 이게 작동하는지 안 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여러 번 버튼을 누르게 되고 이 때문에 서버에 악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제가 지금 유지 보수하고 있는 곳이 그렇게 되어 있어서 이번 기회에 파일 다운로드 시 로딩 바가 나올 수 있도록 구현하고자 마음 먹었습니다. ajax를 이용하거나 iframe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지만 ajax로 통신할 경우 200 Error가 나고 iframe으로 하려 해도 onload 함수를 이용해서 구현해야 하는데 화면이 reset되는 것이 아니어서 둘 다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좀 더 찾아보니 Cookie를 이용해서 구현한 로딩 바가 있었습니다. - JAVA 단 123456789101112import javax.se..
- Total
- Today
- Yesterday